정찬민 개인전: 행동부피 (2023 대안공간 루프 작가 공모 선정 전시)
DB Type
Description
2023.06.16 ▶ 2023.07.16
-
-
전시 포스터
-
정찬민
행동부피, 에어 조형물 팬 모터, 폴리우레탄, 철제 지지대, 와이어 등, 300x90cmx8pcs, 2023
-
정찬민
건조기 모르게 추는 춤 단채널 비디오, 사운드, 3분 48초, 2023
-
정찬민
들은 모양 3D 프린팅 오브제, 30x15x15cmx15pcs, 2023
-
정찬민
들은 모양 3D 프린팅 오브제, 30x15x15cmx15pcs, 2023
-
정찬민
행동부피를 위한 탑 단채널 비디오, 사운드, 2분, 2023
-
-
Press Release
American economist Jeremy Rifkin predicted the technological age of the future in his book ‘The End of Work’.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computer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eemed to liberate humans from labor. Cutting-edge machines replaced human physical exertion, and the market focused on new production and profit-generation technologies. Currently known as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ntelli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 GPT replaces not only human physical labor but also creates intellectual content. It performs universal program tasks such as analysis, statistics, summaries, organization, translation, and proofreading at a superior level to humans. Furthermore, its problem-solving capabilities are rapidly evolving, requiring literary, philosophical, and aesthetic meta-thinking.
Since the 1990s, there have been warnings that the relentless competition for productivity enhancement,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and technology development focused exclusively on growth would increase unemployment rates and cause societal polarization. As machin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eplace human labor, one might question whether human life has become a utopia. Artist Chanmin Jeong explores the fatigue and lethargy that arise from the blind pressure for efficiency-centered growth. The exhibition ‘Mass Action’ attributes value to the bodily movements and routine patterns that were previously considered meaningless within the daily actions organized hierarchically around growth and productivity. Jeong identifies, documents, and visualizes actions marginalized within the capitalist order that necessitates economic value creation.
Contained within the installation structure Mass Action, comprised of eight giant fabric balloons, fans, and motors, are the daily routines of 64 individuals. This installation collects ‘mass actions’ of the public, unconstrained by factors like affiliation, gender, age, or ideology. Personal routines such as walking, praying, drinking coffee, studying English, riding, taking supplements, and journal writing are converted into volume based on the duration of each action, which determines the balloons’ size. Activities that consume more time cause the balloon to grow and persist longer. For instance, the time devoted to journal writing, which holds no direct economic value, is represented as an activity that occupies a significant portion of an individual’s day.
The Tower for ‘Mass Action’ is a tower created by 3D scanning the delivery boxes that the artist received while preparing the exhibition. The development of platforms and the non-face-to-face economy have overburdened the delivery system, and the accumulating delivery boxes have become records in the artist’s daily life. Shape of Heard is a work that captures the sound of the artist’s footsteps, converts it into data, and then creates the shape of the data through 3D printing.
Though technological advancement prophesied the end of labor, it paradoxically incited a sense of lethargy in the artist, coupled with an awareness of the crisis caused by the disappearance of many human jobs. When the rhythm of his daily life was disrupted, the artist began to observe points of exclusion, freeing himself from the prevailing pressures that demanded nothing but economic and social growth. He eats half an apple every morning and cleans the cat’s litter box. After engaging in irregular economic activities, he returns home, writes in his journal, and massages his knees and ankles. He perpetuates actions that stand apart from societal norms of growth, thereby navigating an economically unpredictable life.
The accumulation of capital and personal happiness do not correlate proportionally. Jeong says he has regained his sense of self by ‘acting,’ ‘being in action’ rather than pursuing a life of blind goal orientation or achievement. By observing the excluded and everyday actions in his daily life, which seemed to be swept away and dragged along, he could live at his own pace. The artist pays attention to human labor, not machines, to trivial movements that are repeated every day, and to all our actions irrelevant to economic value.
Written by Sun Mi Lee
Curator, Alternative Space LOOP
Translated by Jee Won Kim미국의 경제학자 제레미 리프킨은 자신의 저서 노동의 종말The End of Work에서 미래의 기술 시대에 대해 예견했다. 컴퓨터와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한 제3차 산업혁명은 인간을 노동으로부터 해방시키는 듯했다. 최첨단 기계는 인간의 육체적 소모를 대신했고, 시장은 생산과 이윤 창출을 위한 신기술에 집중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로 불리는 현재, 인공지능 Chat GPT의 지능은 인간의 육체노동뿐만 아니라 지적 콘텐츠를 창출하는 일마저 대신하고 있다. 분석, 통계, 요약, 정리, 번역, 교정 등의 보편적 프로그램 업무는 인간보다 뛰어난 수준의 능력을 구사하며, 문학, 철학, 미학적 메타 사고를 요구하는 문제 해결 기능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생산성 향상을 위한 무한 경쟁과 노동환경의 변화, 성장에만 집중한 기술 발전이 실업률을 증가시키고 집단의 양극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경고는 1990년대부터 있었다. 기계와 인공지능이 인간의 노동을 대신하는 현재 인간의 삶은 유토피아일까. 정찬민은 효율 중심의 맹목적인 성장 압박이 인간에게 주는 피로감과 무기력함에 대해 이야기한다. 전시 는 성장과 생산성 위주로 위계 지어진 일상의 행동에서 무의미하게 여겨졌던 신체의 움직임, 루틴한 패턴들에 가치를 부여한다. 경제 가치를 창출해야만 하는 자본주의 질서 안에서 소외된 행동을 발견하고 기록해 이를 시각화한다.
천으로 된 8개의 대형 풍선, 선풍기와 모터로 구성된 설치 구조물 에는 64명의 하루가 담겨있다. 소속, 성별, 나이, 이념과 무관한 대중의 행동Mass Action을 수집한다. 산책, 기도, 커피 마시기, 영어 공부, 라이딩, 영양제 섭취, 다이어리 쓰기 등의 개인별 루틴은 각 행동마다 지속한 시간만큼 부피로 환산되어 풍선의 크기를 결정한다. 오랜 시간을 소비한 행동일수록 풍선은 커지고, 오래 지속된다. 예를 들어, 경제 가치와 아무 상관 없는 다이어리 쓰기 시간이 누군가에게는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개인의 가치로 표현된다.
은 작가가 전시를 준비하는 동안 실제로 받았던 택배 상자를 3D로 촬영해 만들어진 탑이다. 플랫폼 발달과 비대면 경제는 택배 시스템을 과중시켰고, 쌓여가는 택배 상자는 작가의 일상에 그 자체로 기록물이 되었다. 은 작가가 이동하는 발걸음 소리를 수집해 데이터로 변환한 뒤 데이터의 형상을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작업이다.
기술 발전은 노동의 종말을 예견했지만, 역설적으로 인간의 일자리를 앗아간다는 위기의식과 함께 인간으로서 무기력함을 주었다. 정찬민은 일상의 리듬이 깨지자, 성장만을 강요하는 주위의 압박에서 벗어나 소외되는 지점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매일 아침 사과 반쪽을 먹고, 고양이 화장실을 청소한다. 비정규적인 경제활동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와 일기를 쓰고, 무릎과 발목을 마사지한다. 사회의 성장 질서와는 거리가 먼 행동을 반복하고 경제적으로 불안한 삶을 산다.
자본의 축적과 개인의 행복은 비례하지 않는다. 정찬민은 맹목적인 목표 지향이나 목적 달성, 성과를 위한 삶보다 ‘행동함’, ‘행동하고 있음’ 자체로 스스로의 존재를 회복했다고 말한다. 휩쓸려 끌려가듯 살았던 일상에서 소외되고 평범한 행동을 관찰하며 제 속도로 삶을 살아갈 수 있었다. 작가는 기계가 아닌 인간의 노동, 매일 반복되는 사소한 움직임, 경제 가치와 무관한 우리의 모든 행동에 주목한다.
글: 이선미, 대안공간 루프 큐레이터
전시제목정찬민 개인전: 행동부피 (2023 대안공간 루프 작가 공모 선정 전시)
전시기간2023.06.16(금) - 2023.07.16(일)
참여작가
정찬민관람시간10:00am - 07:00pm
휴관일없음
장르설치
관람료무료
장소대안공간 루프 ALTERNATIVE SPACE LOOP (서울 마포구 서교동 335-11 )
주최대안공간 루프
주관대안공간 루프
후원춘천문화재단, SMIT 확장미디어스튜디오
연락처02-3141-1377
-
Artists in This Show
Genre
Style
Status
-
Closed
Opening - Closing Date
Country
-
South Korea
Region
-
Seoul